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ndroid jetpack Compose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Jetpack Compose 선언형 UI, 특정 상태에 따라 UI가 무엇을 보여주면 되는지 상태에 따른 UI를 작성하기 위해 훨씬 적은 코드를 사용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 View의 속성등의 구현을 할 경우 경우...
React-Native React-Query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서버의 값을 client 에 가져오거나 캐싱, 값 업데이트, 에러 핸들링 등 비동기 과정을 더욱 편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react-query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React-Query 🍬 서버의 값을 client 에 가져오거나 Caching, value updating, error ha...
React-Native Redux로 전역 상태 관리하기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Redux를 사용하여 전역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에는 React의 Context API를 사용하여 전역 상태를 관리했습니다. Context API를 사용하면 웬만한 기능은 모두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역적으로 다뤄야 할 상태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질수록 준비해야 할 코드...
React-Native Redux Toolkit 사용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Redux Toolki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dux를 사용하면 action type을 선언하고, action 생성 함수를 선언하고, Reducer에서 해당 action을 위한 케이스를 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Module의 상태가 복잡해지면 불변성을 유지하면서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
Typescript 로 React-Navigations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시간에는 TypeScript로 React-Navigations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입 설정을 잘 하면 새로운 화면을 띄우는 과정에서 화면의 이름을 자동 완성 하고, route 파라미터의 타입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면 Component에서는 해당 화면에서 받아올 파라미터들의 ...
Typescript 에서 Context API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 이어 TypeScript에서 Context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 Typescript 에서 Hook 사용하기 🚩 TypeScript 로 Context API 사용하기 createContext 함수를 호출할 때 Generic을 설정해줘야 ...
Typescript 에서 Hook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TypeScript에 관하여 기초적인 문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지난 포스팅을 안보신 분들은 👉 Typescript에 관하여를 통해 참고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이번 포스팅에서는 TypeScript로 Hook을 사용하는 방법을 예제를 통하여 알아보도록할텐데 Hook에 관하여 모르시는 분들은 👉 Rea...
React-Native Hook
안녕하세요. Narvis2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React-Native Hook 에 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React 에는 use로 시작하는 다양한 함수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 함수들을 Hook이라고 부릅니다. Hook을 사용하여 상태 관리, 최적화, 컴포넌트 작동 흐름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Hook 의 규칙 H...
React-Native Context API
안녕하세요. Narvis2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React-Native Context API 에 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Context API는 react에 내장된 기능으로 Props를 사용하지 않아도 특정 값이 필요한 Component끼리 쉽게 값을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주로 프로젝트에서 전역 상태를 관리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 Conte...
TypeScript
안녕하세요. Narvis2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ypeScript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JavaScript는 동적 타입 언어 입니다. 즉, 특정 변수를 선언했을 때 다른 타입으로 대입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의 변수의 타입은 Runtime에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실수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타입 추론...